2012년이었나?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았던 터키전이 참 좋았던 기억이 나서

이번에 열린 '폴란드, 천년의 예술'에도 다녀왔다.

3개월 동안 진행되었던 전시인데 시간을 계속 못 내다가 전시 마지막날 가게되었다.

 

일요일이기도 하고, 마지막날이기도 해서 사람들이 바글바글....

3시에 도착했는데 대기시간이 무려 1시간...4시가 되어서야 입장할 수 있었다 ㅜㅜ

 

팜플렛과 티켓이 참 맘에 들었다. 폴란드 느낌이 물씬

이번 전시는 4시부터 6시반까지 2시간반 동안 관람했는데, 2시간 반이라는 시간이 빠듯할 정도로 작품수도 많았고, 폴란드의 역사를 다룬 영상, 쇼팽에 관한 영상도 준비되어 있는 등 매우 탄탄한 전시였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하는 전시는 믿고 보는 편인데 이번에도 기대했던 것보다 좋아서 매우 만족ㅋㅋ )

 

대기 시간이 있어서,

1시간 동안 이렇게 야외에 설치된  그림 앞에서 사진도 찍고 

하늘도 올려다 보고 

박물관 뒤편에 있는 계단을 올라가 경치도 구경했는데

경치가 너무 좋았다. 미국 주택가 느낌이 물씬! 이국적인 정취가 느껴졌달까..ㅋㅋ 

그래서 가보고 싶었는데 시간 부족으로 근처만 보고 다시 돌아온 ㅠㅠ아쉽다 아쉬워 ㅠㅠ

박물관 내에 book shop이 보이길래 책도 구경할 겸 갔는데

서점이라기보단 기념품관 느낌이었다.

이런저런 미술관련 기념품을 파는 곳이었는데 구경하다가 의식팔찌를 구입!

 

위안부 할머니들을 후원하는 희움에서 제작한 팔찌로, 이쁘고 가격도 저렴하다. 개당 2000원.

그렇게 놀다가 드디어 입장@@@

전시관에서는 보통 사진 촬영이 금지되어 있는데 이 곳은 사진촬영이 가능했다.

그래서 이것저것 많이도 찍어온....ㅋㅋㅋㅋㅋㅋㅋ

 

먼저 입장하는 곳 오른편에 그려져 있는 폴란드 지도

폴란드를 둘러싸고 있는 주변국들을 보면 세계사를 잘 모른다고 해도, 왜 폴란드가 침공을 많이 받았는지,

왜 아픈 역사를 지니게 됐는지 어림짐작으로나마 알 수 있게 된다. 폴란드는 1795년에 한번, 프로이센·러시아·오스트리아 3국에 의해 분할되는 아픔을 겪는다. 그 후 수많은 사람들의 피의 희생으로 1918년 독립! 하지만 제2차 세계대전으로 서부 지역은 독일에, 동부 지역은 소련에 분할 점령되는 아픔을 또 한번 겪는다. 그리고 1945년 해방.

 

지도로 워밍업하고 본격으로 전시 관람 시작 !

폴란드의 미술작품에는 종교와 관련된 것이 많다. 그도 그럴것이 폴란드는 오래기간 국교가 가톨릭이었으며, 현재에도 전체 인구의 90%의 종교가 가톨릭일 정도로 가톨릭의 성지인 곳이다. 그래서 성모 마리아와 예수, 사도 요한 등이 많이 조각되고 그려졌으며, 그런 류의 작품들이 이번 전시에서 상당 수를 차지했다.

아래 작품은 예수를 안고있는 우아한 곡선으로 조각되어진 다정한 표정의 성모마리아

성모 마리아의 어머니, 예수, 성모마리아

예수가 십자가에 못박혀 죽은 일은 많은 미술작품과 조각에서 표현되고 있는 주제 중 하난데 폴란드에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이 작품에서의 마리아의 표정이 너무나 고통스럽고 슬퍼보여서 인상적이었던 작품.

성모마리아, 예수, 사도 요한

 

제 2실부터는 회화작품이 많이 보였다.

아래 그림의 제목은 죽음. 죽음의 신을 무섭고 차가운 존재로 그리지 않고 인정과 동정이 담긴 표정을 짓고 있는 여인으로 그려내고, 죽음을 받아들이는 노인의 미소짓는 표정이 평온해보여서 인상적이었던 그림.

죽음 뒤엔 뭐가 있을까..평화가 있을까 정말 천국과 지옥이 있을까, 혹은 그저 무로 돌아가는 것일까

이런 생각들을 하면서 그림을 감상했다.

 거리의 악사 같은 느낌이 멋있어서 찍어둔 사진. 오른쪽 여인이 마치 악기처럼 불고 있는 저 새는 종달새인데 희망을 의미한다고 한다. 전체적인 그림 설명은..기억이 안난다..ㅠㅠ

 빛이 이마에 투사되고 있는 그림이었는데 아름다웠다.

 이번 전시의 유명작품 중 하나. 한동안 빠져서 바라보았던 소녀의 눈

 

강변에 누워있는 여인의 나체.

 아래는 그리스 로마 신화와 관련된 조각 같은데 문외한인 나로서는 뭘 의미하는지 모르겠는...ㅠㅠ

이번 전시를 보면서 성경과 그리스로마신화에 대해서 무지하다는 걸 많이 느낀다 정말 ㅠㅠ

 귀족 여인의 초상화 중 하나인데 귀족 여인들의 초상화가 정말 많았지만 이 분이 제일 아름다우셨다.

 제3실엔 쇼팽이 있었다. 천문학자 코페르니쿠스와 함께 폴란드의 자부심인 쇼팽! 쇼팽에 대해서 잘 몰랐지만, 이 전시를 보면서 그가 얼마나 위대한 천재였는지 많이 와닿았다. 그는 제2차 세계대전 때 프랑스로 망명해서 죽어서도 폴란드로 돌아오지 못했지만 항상 조국을 그리워하고 조국에 대한 마음을 담아 음악을 만들었다고 한다.

 

 피아노는 둘에게 소품일 뿐이라고 생각....사랑에 빠진 표정이 예뻐보여서 찍었다.

 디테일한 묘사들이 너무 좋았다. 사진상으로는 자세히 볼 수가 없지만 육안으로 꼼꼼히 하나하나 보다보면 탄성이 나옴....

 

춤추는 무희들을 그린 그림인데 춤을 추는 동작과 언뜻 보이는 표정에서 행복과 흥겨움이 느껴져서 마음이 포근해져왔던 그림.

 눈에 비치는 햇빛을 너무나 사실적으로 묘사해서 입이 안 다물어졌던...

 

 횃불이 비추는 사람들의 옆선 묘사에 ㄷㄷ.......

 

폴란드에서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서 투쟁했던 독립운동, 봉기 등의 실패를 가운데 검은 드레스를 입은 여인으로 빗대어 표현한 그림으로 군복을 입은 사람들은 침략국을 상징한다. 독립에 실패한 폴란드를 상징하는 저 여인. 비록 찢어진 상복과 같은 드레스를 입고 있지만 표정은 당당하고 조금의 두려움도 없다.

 

 

폴란드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게 벽에 정리해둔 연표

이 곳에서 폴란드의 역사를 영상으로 보여줬는데

정말 잘 만든 영상이었다. 보면서 와 정말 아픈 역사를 가진 나라구나, 우리나라와 비슷한 아픔을, 아니 더 큰 아픔을 지닌 나라구나라는 생각을 했고, 언젠가 폴란드에 꼭 한번 가고 싶다는 생각을 했던 것 같다.

 

지도에서 120여년간 사라졌던 나라,

제2차세계대전으로 인해 600만 명 이상의 인명피해를 입었던 나라,

여러번 나라를 빼앗겨도 포기하지 않고 나라를 찾기 위해 투쟁했던 나라.

 폴란드의 자랑 코페르니쿠스의 원고

 

 

 

 

폴란드에 언젠가 가보겠다고 다짐하며 포스팅 마무리!

 

 

 

 

 

 

 

'그림쟁이의 캔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이먼 사비냑 전시에 다녀오다.  (0) 2015.06.23
.  (0) 2015.05.25

+ Recent posts